-
1. 생활 속 IT 안전진단 기준 제시
소비자가 월패드, CCTV, 스마트가전, 공유기 등 IT 기기 사용 시 알아야 할 기기 선택 기준, 설치 기준, 안전한 사용법을 체크리스트 형태로 제공합니다.
제품 출처, 보안 인증 여부, 관리자 설정, 보안 업데이트 가능 여부 등 소비자가 구매 전에 확인해야 할 핵심 항목을 제도화합니다.
진단 대상은 스마트홈, 소상공인 매장, 오피스텔, 공공기관, 학원 등 다양한 생활공간이며, 소비자가 스스로 점검 가능한 항목으로 구성된 기준을 개발·배포하고 있습니다.
-
2. AI 기반 IT 안전진단 툴 보급
AI 알고리즘 기반의 웹·앱형 진단 도구를 제공하여, 소비자가 기기 유형 및 설치 정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보안 취약 여부를 진단하고 결과에 따라 개선 방안과 제조사/판매처 문의 가이드를 제공합니다.
-
3. 공동주택 IT 안전관리사 및 IT 안전관리사 자격제도 운영
협회 산하 한국홈네트워크안전관리협회를 통해 '공동주택 IT 안전관리사' 자격 검정 제도를 운영하며, 월패드, 네트워크, 출입 시스템, 세대간 망분리 등 공동주택 내 IT 기반 시설의 안전관리 인력 양성 및 고용 확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.
또한 이를 확장하여, CCTV, 공유기, IoT 가전 등 다양한 생활 IT 기기를 관리할 수 있는 'IT 안전관리사' 자격제도를 별도로 운영할 계획입니다.
자격 취득자는 시설 내 IT기기 점검, 소비자 대응, 진단보고서 생성, 위험 알림 등의 실무를 수행하며, 비 IT전공자에게도 실질적인 디지털 보안 대응 능력을 부여합니다.
-
4. 사이버안전 연구 및 사회참여
생활형 사이버 침해 사례 분석, 소비자 인식 및 사용 행태 조사, 보안 정책 및 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활동을 수행합니다.
자격 교육 및 인증을 통해 비 IT 전문가의 전문성 강화, 재취업·창업 연계, 일자리 창출 등 사회적 파급효과를 창출합니다.
-
5. 생활형 사이버 보안 홍보 및 교육
"우리집 IT 안전 진단 캠페인", "우리 가게 보안 점검 캠페인", "우리 회사 정보 보호 캠페인" 등 소비자 참여형 교육과 홍보 콘텐츠를 기획·운영합니다.
특히, CCTV 영상 유출, 고객정보 보호, 가게·사무실 내부 기기 보안 설정 등 실제 피해 사례에 근거한 대응책과 실천가이드를 제공합니다.
청소년, 고령자,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콘텐츠를 제작·보급하며, 보안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합니다.